올해 9월부터 부산 지역화폐인 동백전 캐시백 혜택이 무려 최대 13%까지 인상됩니다. 숫자만 보면 “13%가 뭐 대단해?” 싶을 수도 있는데요, 실제로 따져보면 결코 작은 변화가 아닙니다. 저는 개인적으로 이 소식을 듣고 “이제 장보러 갈 때 조금이라도 더 알뜰해질 수 있겠구나”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.
부산시는 이번 정책이 단순히 시민들의 혜택을 늘려주는 데 그치지 않고, 골목 상권을 살리고 소상공인들의 매출 증대에도 큰 도움이 되리라고 기대하고 있습니다.
동백전 캐시백, 무엇이 달라지나?
이번 인상의 핵심은 캐시백 요율 최대 13%입니다.
기존에는 7% 수준이었는데, 9월부터는 매출 규모에 따라 차등 적용됩니다.
연 매출 10억 원 이하 가맹점: 13% 캐시백
연 매출 10~30억 원 가맹점: 11% 캐시백
연 매출 30억 원 초과 가맹점: 캐시백 없음
즉, 부산 시민들이 주로 이용하는 동네 슈퍼, 식당, 작은 카페 같은 소규모 점포에서 동백전 캐시백 혜택을 가장 많이 누릴 수 있다는 거죠.
전체 가맹점의 90%가 연매출 10억 원 이하 소상공인이라고 하니, 사실상 대부분의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혜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.
숫자로 보는 혜택: 월 사용액과 환급액
예를 들어 월 30만 원을 동백전으로 결제한다고 해봅시다.
기존: 7% → 환급액 약 21,000원
변경 후: 13% → 환급액 약 39,000원
거의 두 배 가까이 혜택이 늘어난 셈이죠.
사실 이 정도면 적립식 저축하는 기분도 납니다. 마트 장보고, 택시 타고, 배달 시켜 먹으면서 그냥 결제만 했을 뿐인데 매달 4만 원 가까이 돌려받는다면, 이건 정말 놓치기 아까운 혜택 아닐까요?
땡겨요 동백전 사용 방법 - 페이북 이용해서 동백전카드로 결제 2025 - 파이낸스kr
요즘 소상공인의 배달비 부담을 줄이고 지역경제 살리는 공공배달앱을 정부에서 상당히 지원해 주고 있는데요. 소비자에게 상당한 혜택도 주고 있어서 요즘 저는 이것만 쓰는 것 같아요. 특히
finance.infoyup.com
저는 솔직히 배달앱에서 음식을 시킬 때마다 ‘배달비가 참 아깝다’라는 생각을 자주 하는데, 이번에 동백전이랑 연계된 ‘땡겨요’ 같은 공공 배달 앱에서도 동백전 캐시백 13%가 적용된다니 조금은 마음이 덜 아플 것 같습니다.
동백전, 단순한 카드가 아닌 지역경제의 엔진 부산시는 이미 지난 1~7월 동안 동백전 발행액이 9,926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. 전년 동기 대비 약 23.1% 증가한 수치라는데요 , 이만큼 시민들이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증거겠죠.
제가 보기에는 동백전 캐시백 정책이 단순한 소비자 혜택을 넘어 지역경제를 순환시키는 힘이 되고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의미입니다. 시민들은 할인 효과를 누리고, 소상공인은 매출을 늘리고, 도시는 경제 활성화를 얻는 구조죠.
개인적인 생각: ‘혜택+의미’ 두 마리 토끼 저는 사실 캐시백이라는 단어만 보면 먼저 “얼마 돌려받을 수 있나?”라는 계산부터 하는 스타일인
데요(아마 많은 분들이 공감하실 거라 믿습니다).
그런데 이번 동백전 캐시백 인상은 단순히 내 지갑 사정을 조금 도와주는 걸 넘어, 내가 소비하는 돈이 내 지역 가게와 사장님들을 살리는 데 쓰인다는 점에서 더 뿌듯합니다.
특히 요즘같이 경기 침체가 체감되는 시기에, 이런 제도는 ‘내 소비가 선행이 되는 느낌’을 주니까 더 열심히 쓰고 싶어지더라고요. 부산에서 사는 게 한층 더 든든해지는 순간입니다.
앞으로의 기대 부산시는 이번 정책을 9월과 10월 두 달간 먼저 시행하고, 이후 11~12월 운영 방향은 발행액 추이를 보면서 별도로 발표한다고 합니다. 개인적으로는 이 제도가 단발성이 아니라 꾸준히 이어졌으면 하는 바람이에요.
왜냐하면 소비자 입장에서는 한두 달 해보고 사라져 버리면 적응하기도 전에 끝나버리기 때문이죠. 또 소상공인 입장에서도 안정적인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미래를 계획할 수 있지 않을까요?
마무리: 부산의 진짜 혜택
정리하자면, 동백전 캐시백 13% 인상은 시민들에게는 생활비 절약의 기회, 소상공인에게는 매출 증가의 기회, 부산 경제에는 활력의 기회가 됩니다. 만약 아직 동백전을 쓰지 않으셨다면 이번 기회에 꼭 신청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. 저는 이미 매달 생활비의 일부를 동백전으로 결제하고 있는데, 확실히 현금처럼 쓰면서도 돌아오는 혜택이 쏠쏠하더라고요.
결국 이 제도는 ‘나 하나의 이익’에서 끝나지 않고, ‘우리 모두의 이익’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습니다. 앞으로도 동백전이 부산 경제의 튼튼한 엔진이 되어, 시민과 상인 모두 웃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.
자료참고 부산시
'복지 | 정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부산 온누리상품권 환급행사 4일부터 - 부전시장 동래시장 보수종합시장 등 (7) | 2025.08.03 |
---|---|
부산 소상공인 공공배달앱 추진 - 땡겨요 동백전 8월 1일부터 결제 가능 (9) | 2025.07.31 |
농협 민생지원금 신청 방법 [ 앱 쉽고 간단 ]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(4) | 2025.07.21 |
대구 민생회복지원금 신청 방법 기간 콜센터 - 1차 지급 (0) | 2025.07.18 |
부산 동백전 행복마일리지 2차 모집 - 7월 30일 선착순 (5) | 2025.07.11 |